반응형

안녕하세요?
한달 정도 고민 끝에 와이어링 제본기를 구입했어요.
아이들 학습지 자료와 개인적으로 필요한 서류들을 제본하고 싶은데,
과연 얼마나 쓸까 싶어 한참을 고민했네요.
열제본기, 플라스틱링 제본기, 와이어링 제본기가 있었는데 와이어링 제본기가 가장 유용해 보였어요.
열제본기는 제본은 간편하지만 책이 쫙 펴지지 않아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플라스틱링 제본은 플라스틱링이 오래되면 깨지기도 하고, 종이가 잘 빠진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그에 반해 와이어링 제본기는 연습이 좀 필요하다는 것 외에는 단점을 못 찾았거든요.
플라스틱링과 와이어링 겸용 제본기도 있지만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사악해서 패스했어요.

와이어링 제본기도 브랜드와 종류가 많았는데요,
여러가지 제품을 나름 비교해 보고 현대오피스의 WS-15C 제품을 선택하게 됐어요.
WS-15 제품이 약간 더 저렴하지만 동그랗게 천공하고 싶어 WS-15C를 구입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아주 만족스럽네요.

기다리고 기다리던 택배가 도착하던 날.
택배 박스를 보고 놀랐어요. 상자가 너무 커서요~


제본기는 상자에 안전하게 들어있었고, 
카탈로그와 와이어링, 제본표지, 탈착기가 들어있었답니다.


제품 상자 안에는 제본기 본체와, 핸들, 용지 받침대가 들어있는데요,
조립은 제품을 보면 그냥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합니다.


아래 사진은 간단하게 조립을 마친 상태입니다.
제품은 A4용지보다 약간 더 큰 정도이고, 핸들 높이가 있어 어느정도 부피를 차지한답니다.
저는 장기간 보관시에는 핸들을 분리하여 선반에 올려두었답니다.
무거워서 옮기기 어렵다는 평도 있었는데, 저는 못옮길 정도로 무겁진 않았어요~


처음 사용시 사용방법은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답니다.
https://youtu.be/RiKh2k_IjbM


저도 버릴 종이로 천공마진을 조절 해 가며 천공해봤는데요,
링 사이즈를 고려해서 천공마진을 조절하면 될 것 같아요.
45매에 9.5mm 와이어링을 사용할 때 레버를 제일 안쪽으로 밀어넣어 깊이를 좁게 천공하니 딱 좋았어요.
15매까지 한번에 천공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여성분이라면 5~10매 사이로 천공하는게 수월하답니다.


와이어링걸이에 와이어링을 걸고 제본할 용지를 링에 걸어줍니다.
앞표지가 맨위에 오도록 맨뒷표지 전 장까지 순서대로 걸고, 
맨 뒷표지를 앞표지 위에 걸어주어야 깔끔하게 제본됩니다.

만약 크리스탈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래 과정은 필요 없습니다.
그냥 천공한 용지에 손으로 크리스탈링을 끼워주면 됩니다.


그 다음, 링규격조절레버를 링 사이즈에 맞게 돌려줍니다.
(천공시에는 동그라미로 표시된 맨 우측으로 돌려주어야 합니다.)


제본할 용지가 걸린 링을 와이어링 압착홈에 넣고 핸들을 이용하여 압착하면 제본이 완료됩니다.


제본 완성!!
처음이라 그런지 와이어링이 D자형으로 제본이 되었는데요, 
이건 몇 번 사용하다보면 요령이 생기지 않을까 싶어요.


처음 제본 해 봤는데, 제법 그럴듯 해 보이네요~^^


아이들 학습지는 크리스탈링을 이용하고, 제가 보관할 서류들은 와이어링을 사용하여 제본하고 있는데요,
한 달 동안 고민한 것이 무색할 정도로 너무나 만족하며 잘 사용하고 있답니다.
지금도 잘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나중에 아이들이 크면 사용빈도가 더 많아질 것 같아요. 

나중에 더 사용하면서 장/단점이나 요령을 발견하면 다시 알려드릴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행복하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경력 단절 9년여만에 프로그래밍을 새로 공부 해 볼까 싶어 시작한 파이썬.
정리 차원에서 하는 포스팅이라 음슴체로 간략하게 기록 예정.

파이썬(Python) 개요


1. 파이썬(Python) 특징
  - 대화형 인터프리터 언어
  - 데이터 타입 지정이 필요없는 동적 타이핑
  - 플랫폼에 독립적
  - 확장성이 높음
  - 오픈소스

2. 장점
  -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함
  - 유지보수가 쉬움
  - 타 언어에 비해 적은 소스코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높음
  - 수많은 라이브러리 제공
  - 무료이지만 기능이 강력함

3. 단점
  - 환경이 익숙하지 않음
  - 하드웨어와 밀접한 환경에서 기능과 성능이 떨어짐
  - 모바일 웹 환경에서 취약

==> 프로그래밍을 접해 본 사람이라면 쉽게 접근할 수 있음
       초보자라 할 지라도, 다른 언어보다는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됨
       프로그래밍 언어가 뭐 다 거기서 거기지~ 하며 일단 도전!!

파이썬(Python) 설치

1. 파이썬 공식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https://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Downloads 메뉴에서 본인의 환경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본인은 Windows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함)
버전은 2.x와 3.x가 있는데 문법이 다르다고 함
3.x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으면 됨


2. 다운로드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설치 시작
하단의 'Add python.exe to PATH'를 체크함
초보라면 'Install Now'로 간단히 설치해도 됨
본인은 특정 경로에 설치하기 위해 'Customize installation'을 선택함


3. 'Next'를 클릭함


4. 설치 경로를 본인이 원하는 경로로 지정 후 'Install' 버튼 클릭


5. 설치가 완료되면 'Close' 버튼을 클릭


6. 윈도우 모양의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된 파이썬 프로그램을 확인 할 수 있음
  - IDLE : 파이썬의 표준 GUI 대화식 인터프리터 쉘
  - Python : DOS 창에서 실행되는 파이썬 대화식 인터프리터
  - Python Manuals : HTML 형식의 파이썬 문서(튜토리얼, 설치 및 사용방법, FAQ 등)
  - Python Module Docs : 파이썬 모듈 소스


7. 기본적으로 IDLE를 실행하여 간단한 기능을 테스트
   (1+2, 3*5, 6/2, 'Hello' 등을 입력하면 결과값을 보여줌 - 대화식 인터프리터)


File > New File 새파일을 열어 소스를 작성하고 저장 후 실행할 수 있음
(예제) test.py
print(1+2)
print(3*5)
print(6/2)
print(3**2)
print('Hello')


오늘은 여기까지......
앞으로 공부한 내용은 천천히 정리 예정임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메타마스크 설치 및 사용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려드렸는데요,
메타마스크는 이더리움을 제외한 네트워크는 따로 설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
방법은 2가지가 있어요. 
첫번째는 수동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입력하여 등록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https://chainlist.wtf/ 홈페이지에서 지갑을 연결하여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방법이 더 간단하긴 합니다.

첫번째 방법으로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정보를 알아야 하는데요,
오늘은 그 네트워크 정보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 Network Name(네트워크 이름): Binance Smart Chain
- New RPC URL(네트워크 URL): https://bsc-dataseed.binance.org
- Chain ID(체인 ID): 56
- Currency Symbol(통화 기호): BNB
- Block Explorer URL(블록 탐색기 URL): https://bscscan.com

클레이튼
- Network Name: Klaytn Mainnet
- New RPC URL: https://public-node-api.klaytnapi.com/v1/cypress
- Chain ID: 8217
- Currency Symbol: KLAY
- Block Explorer URL: https://scope.klaytn.com

폴리곤(MATIC)
- Network Name: Matic Mainnet
- New RPC URL: https://rpc-mainnet.maticvigil.com/
- Chain ID: 137
- Currency Symbol: MATIC
- Block Explorer URL: https://explorer.matic.network/

팬텀
- Network Name: Fantom Opera
- New RPC URL: https://rpcapi.fantom.network/
- Chain ID: 250
- Currency Symbol: FTM
- Block Explorer URL: https://ftmscan.com/

후오비 에코 체인(HECO)
- Network Name: Huobi ECO Chain Mainnet
- New RPC URL: https://http-mainnet.hecochain.com
- Chain ID: 128
- Currency Symbol: HT
- Block Explorer URL: https://hecoinfo.com


가장 자주 사용하는 메인넷 다섯 가지를 정리했는데요,
이 외에도 많은 메인넷이 존재합니다.
시간이 될 때, https://chainlist.wtf/ 홈페이지를 살펴보고 필요한 네트워크를 추가하면 될 듯 합니다.

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부자되세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야양

소소한 일상에 대한 기록

카테고리

Juyayang's hiStory (394)
[정보] (42)
[여행] (75)
[취미] (38)
[공부] (23)
[일상 생활] (9)
[자료실] (7)
[hiStory] (197)